사료빈 또는 원료사일로 상부에 올라가지않고 PC 또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저장고내부의 재고 및 형태를 파악하는 시스템
저장고 상부에 레이저스캐너를 설치하여 저장고 내부의 재고 및 온도 등의 저장상태를 측정하여 빈 정면에 장착한 컨트롤러로 정보를 보내면 컨트롤러는 무선 로라통신으로 사무실에 있는 통신 게이트웨이로 정보를 보내게 된다. 통신 게이트웨이는 WiFi를 통해 리츠 서버로 보내고 리츠 서버는 인터넷을 통해 고객의 서버, 컴퓨터, 모바일로 필요한 정보를 보낸다.

※ Lidar 기술을 이용한 탐사시스템
축산농가 사료빈 내부에 적재되어 있는 사료 재고량을 확인하기 위해 빈상부에 올라가야 하는 위험한행동에서 발생하는 안전사고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아울러 사료를 생산하고 있는 축산회사의 사료공장에 있는 원료사일로는 높이가 20미터 에서 50미터까지 높아서 재고를 정확하게 파악하기가 쉽지않다.
재고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인원이 정기적으로 사료빈 또는 원료사일로 상부까지 올라가는 위험한 행위를 하지 않고 상부에 장착한 레이저장비를 통해
PC나 모바일로 사료나 원료의 재고는 물론이고 보존상태를 확인하여 사료나 원료의 주문을 적시에 할 수 있고 빈이나 사일로내부 벽에 붙어서 썩어 있는
사료 및 원료를 사전에 파악하고 예방 및 방지할 수 있다.
종래 기술 대비 우월한 가격 경쟁력을 지니며 저장물의 저장 상태와 부피(질량)를 비접촉으로 탐지 할 수 있는 저비용 3D 이미지센서와 1㎞ 장거리 통신
및 433㎒/915㎒ 밴드 선택이 가능한 Sub-Giga Hertz 대역의 WSN 기반으로 최대 5,000 개의 원거리 분산된 저장고들을 3차원 입체로써 실시간 관리가 가능한
재고관리 시스템 기술을 개발하여 판매 중에 있다
3차원(부피)탐지 정밀도가 F/S 1.5%, 직선탐지거리 20M, 수평탐지각도 360도, 수직탐지각도 110도, 자동세정기능, 무선통신, 생산성분석등의 다양한보고서,
스마트폰 앱프로그램제공, 등등 세계최고 및 최초의 기술을 도입하였다.
※ 비즈니스 모델
현재 축산농가의 사료빈에 설치하고 있는 FBI제품은 약 2년간의 개발과 1년간의 현장 테스트를 완료하고 2019년 11월부터 양산하여 판매 중에 있으며,
글로벌기업 카길과 3,000세트 구매계약을 체결하여 판매 설치 중에 있으며, 아울러 카길은 원료사일로 재고파악를 위해 군산공장 빈/사일로상부에
시제품 PBI를 설치하여 테스트 중에 있다. 카길은 PBI 시제품이 재고파악에서 3%이하의 정밀도를 유지하면 PBI도 구매계약을 체결할 예정이다.
카길은 사료빈관리시스템(FBI) 및 원료빈관리시스템(PBI)를 전세계 카길지사로 확산시켜 정기적인 재고파악을 위한 안전사고예방 및 생산 및 물류비용 절감등의 효과를 기대하고 있다.
아울러 농협의 천안 미곡장에서도 쌀을 저장하고 있는 사일로에 2세트를 설치하여 테스트 중에 있고, 하림, 선진, 팜스코등의 사료회사에서도 FBI, PBI를 적극적으로 검토 중에 있다.
※ 제품개발단계 및 출시일정
현재 FBI제품은 양산 중에 있고 전국 지역별로 10개의 리츠 대리점이 B2C (축산농장-양돈, 양계, 축우) 영업을, 리츠는 B2B (사료회사-농협, 축협, 카길, 하림등 및 협회- 한돈협회,
양계협회, 축우협회등) 와 B2G (농림축산부, 농촌진흥청, 전국도청 및 군청등) 영업을 하면서 제품설치를 확장하고 있다.
PBI제품은 카길사료공장에서 설치한 시제품이 테스트가 완료되면 바로 양산할 수 있도록 제품을 보강하여 전국사료공장의 곡물, 비료회사, 시멘트회사, 석탄등의 고체원료 사일로등을
영업타겟으로, 2021년부터 제품을 출시할 예정이고 판매 및 설치할 계획이다.
※ 차별점 및 투자 포인트
FBI제품은 경쟁제품인 로드셀(저울시스템)에 비해 설치가 간편하고 설치기간도 짧고 비용도 저렴하다. 특히, 로드셀은 측정오차를 줄이기 위해 매년 1-2번의 조율이 필요하고
그 조율을 위해 정기적인 비용이 발생하지만 리츠 FBI 제품은 조율을 위한 유지보수비용이 발생하지 않는다.
PBI제품은 미국 에머슨제품이 경쟁제품이지만 리츠 제품처럼 레이저방식이 아니라 초음파 방식이고 1대당 약 2천만원의 고가이며 측정각도가 30도라서 폭 (약20M) 이 넓은 빈이나
사일로에는 2대 이상, 5대까지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으로 부담스러운 단점이 있다.
※ 주요 타겟 고객 및 시장분석
FBI 제품 : 주요타겟은 축산농장과 사료회사이며, 국내 축산농가에서 사용하고있는 사료빈의 수량은 약 75,000개 정도이고 내년(2022년)까지 약 20%인 15,000대이상을 설치할 예정이다.
(2023년까지 매출액 : 110억원이상) 국외는 중국 및 베트남을 시작으로 2023년 하반기에 진출할 예정이다.
PBI 제품 : 주요타겟은 축산회사의 사료공장, 비료, 시멘트등의 고체원료 생산업체들이다. 국내 사료회사가 약 60개, 사료회사가 평균 2개의 사료공장을 소유하고 있고 사료공장별 재고파악을
위해 반드시 설치해야 할 빈이나 사일로를 약 평균 30개로 가정하면 PBI가 필요한 빈이나 사일로 수량은 약 3,600세트이고 그 중 30%인 1,000세트를 2022년까지 판매 / 설치할 예정이다.
(2023년 까지 매출액 : 40억원이상) 국외는 중국 및 아시아를 시작으로 2023년 하반기에 진출할 예정이다.
※ 사업 성과 및 마케팅 계획
현재 카길과의 3,000세트계약이후 하림과 계약 중에 있으며, 축산잡지 및 신문에 광고 보도기사를 올리면서 다른 축산회사 농협, 축협, 및 개인 농장에서 문의 및 설치 전화가 계속해서 오고 있다. 현재까지 약 200세트 정도 판매하고 있고 향후 전국 미곡장 (쌀수매) 에서도 리츠제품이 필요하다며 제품 구입을 검토하고 있다. 제품이 계속해서 업그레이드 할 수 있도록 개발연구진을
보강할 예정이고 제품 할부 판매도 하나캐피탈과 계약을 완료한 상태이다.
※ 향후 비전
제품 중에서 몇가지의 부품들이 원가를 줄이기 위해서 중국 및 국내 타업체에서 생산되고 있다. 올해안에 제품생산을 중국에서 국내로 가져올 예정이고 내년에는 리츠가 R&D사옥을 구축하여
전부품을 자체 국산개발로 전환하여 좀더 전략적이고 기술적인 부분에서 보안을 유지하면서 외주 프로그램개발까지도 리츠 인력으로 보강해 나갈 예정이다. 2023년 부터는 중국을 시작으로
베트남, 태국에 해외지사를 설치하여 영업망을 확장해 나갈 계획이다.
투자 정보
500,000,000 원
투자단계
-
Angel
-
Seed
-
Series A
-
Series B
-
Series C~E
-
IPO/M&A
IR 정보
Round 참가 횟수
0회 참여
IR 자료

ICT기술을 접목한 플랫폼을 기반으로 글로벌 축산산업발전에 선두기업이 된다
2016년 11월에 사료빈 관리시스템을 3년간 개발하여 2020년도 부터 판매를 시작한 리츠는 2017년도에 중소기업벤처부의 창업성장과제 (사일로또는빈내부 저장물의 3차원레이저 영상탐지 기술개발-S2467057)에 선정되었고 2018년도에 과제 성공판정을 받았습니다. 축산 글로벌회사 카길로 부터 1억원의 투자를 받았고 제품구매선금 1억5천만원도 받았습니다. 제품은 2020년도부터 판매를 시작하였으며 2020년도 매출액은 223백만원이였고, 2021년도 예상매출액은 50억원, 2022년도에는 80억원의 매출액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리츠대표이사는 축산 글로벌회사 카길에서 25년간 IT 및 마케팅부서에서 임원으로 2016년 까지 근무한 경험으로 축산회사 및 농장의 선후배 및 지인을 통해 제품 영업을 원활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리츠는 전국에 축산 기자재업체로 구성된 10개의 대리점을 개설하였고 축산전문 퇴직임원들을 영업조직으로 결성하였으며 KT통신업체와도 협업하고 있습니다.
- 2016.11.30 설립 업력 9 년차
- 기업형태 중소기업
- 보유기술 -
- 벤쳐인증 인증
-
대표자
강경욱
-
기업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새나리로 25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창업보육센타 407호
-
사업자번호
337-88-00647
- 홈페이지
- 연락처
-
이메일
lits.kangkw@gmail.com
-
SNS
- -
주요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