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장레일 주행과 텔레스코픽 형태의 로봇암의 확장/회전을 통해 자율주행하며, 테이블상 마커를 인식하여 트레이를 목표지점에 하강
- 호박벌이 여기저기 꽃을 찾아다니며 수분을 옮기는데 착안. - 레일주행중 테이블상에 부착된 마커와 위치정보를 AI 판별한 후, 로봇암의 확장/회전으로 자유도를 확보하고, 케이블 제어를 통해 서빙트레이를 테이블 마커상에 정확히 안착 - 테이블을 무작위로 배치해도 마커를 보고 스스로 찾아감. - 엑세스도어를 설치하여, 주방, 룸으로 자율이동

Round 참가 횟수
1회 참여
지난영상 보러가기
(1) 보유기술 개요
? 제품개요
- 호박벌이 여기저기 꽃을 찾아다니며 수분을 옮기는데 착안. **특허/상표 등록
- 레일주행중 테이블상에 부착된 마커와 위치정보를 AI 판별한 후, 로봇암의 확장/회전으로 자유도를 확보하고,
케이블 제어를 통해 서빙트레이를 테이블 마커상에 정확히 안착
- 테이블을 무작위로 배치해도 마커를 보고 스스로 찾아감.
- 벽체에 엑세스도어를 설치하여, 주방, 룸, 야외로 자유롭게 이동 가능.
- 천장 레일을 통해, 방해없이 신속하게 이동하며, 천장의 조명이나 구조물을 자율인식하여 회피 기동.
기존 자율주행 서빙로봇보다 2배 이상 빠르게 서빙.
- 서빙트레이와 회수트레이 호환 가능. (빕스나 에슐리 등은 회수트레이 장착)
- 음식점, PC방, 노래방, 스크린골프, 호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
? 제품 특성
- 로봇 관성제어를 통해 고속주행 및 정지시에도 음식물이 넘치거나 쏟아지지 않음.
- 로봇 오작동으로 인해, 음식물이 트레이 내부에서 쏟기더라도, 도어밀폐로 인해 외부로의 유출 원천 차단
- 천장주행 및 상승하강시, 장애물 감지시에는 감속을 통한 정지로 충돌방지
- 타워크레인 원리의 텔레스코픽 서빙암과 밸런싱 암으로 통해 안정적인 암의 확장과 축소.
- 암의 중심을 회전시켜 반경 2m 영역을 사각지대없이 서빙이 가능하여, 대부분의 사업장에서 1~2줄 정도의 레일설치로 충분.
- 주방, 룸, 야외를 자유롭게 이동 가능. 조리된 음식을 주방에서 홀로 신속히 전달.
- 디스플레이가 탑재되어 있어 각종 홍보 및 안내영상을 재생 가능.
- 기존 자율주행 방식과의 차별성
? 자율주행 방식과의 가장 큰 차별성은 통행방해가 없어 피크시간에 효용성이 월등함.
범블비는 인력대체율 0.7 (초기) → 1.0 (확산기) → 1.5 (성숙기) 로 진화하여,
궁극적으로 사람보다 1.5배 빠른 서빙 실현 목표. (기존 자율주행 방식 0.3 정도)
투자 정보
투자단계
-
Angel
-
Seed
-
Series A
-
Series B
-
Series C~E
-
IPO/M&A
IR 정보
해당 기업의 요청에 따라 본계정의
권한으로는 서비스를 이용하실 수 없습니다.

뜬구름 잡는 돈 안되는 기술은 결코 거부한다. 바로 돈 되는 실용적 아이템만 추구합니다.
- 대표이사는 조지아공대 컴퓨터 공학 졸업후, 미국 방산업체에서 근무. 미시민권 획득 (~2009) - 한국으로 귀국후, 한미약품에서 재고조사 하드웨어 솔루션 기획 / 개발 (~2015) - 2015년 택트레이서 설립하였으나, 시장조사, 아이템 발굴, 사업 자금마련 후 2018년에 팁업 - 대표이사, SW개발 2명, HW개발 1명, 회로개발 1명으로 설립초기부터 핵심개발자만으로 구성된 린스타트업 추구. - 중기부, 과기부, 산자부, 지자체 등 각종 정부지원사업 선정으로 투자없이 로봇기업 운영 (선정 지원금 총 30억원 이상) - 도서관 장서조사 로봇 '드래곤플라이' 파일럿 완료. 사업화 실패 (2018) - 재고조사로봇 '스파이더고' 사업화 추진. CES 혁신상 수상. 하림과 MOU. 엔젤/시드 2억원 투자유치 (~2022) - 생존을 위해 차세대 서빙로봇 '범블비'로 아이템 피벗. 2024/06 현장 서비스 테스트 추진 예정.
- 2015.04.13 설립 업력 10 년차
- 기업형태 중소기업
- 보유기술 범블비 특허등록 4건. 상표등록 1건. PCT 출원 1건. 디자인출원 1건.
- 벤쳐인증 인증
-
대표자
전철우
-
기업주소
안산시
-
사업자번호
634-87-00181
- 홈페이지
- 연락처
-
이메일
info@tactracer.com
-
SNS
- -
주요뉴스